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ESTFul API

  RESTFul API

  REST

  • 의의
    - 정의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대표적인 상태 전송)
    -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 전달(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표현 :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달
    -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
      →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쳐 스타일
      → Client와 Server의 통신 방식 중 하나

  • REST의 구체적인 개념
    -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자원에 대한 CRUD 적용하는 것

  • REST의 장단점
    - 장점
      → 별도의 인프라 필요 없음
      → HTTP 프로토콜 최대한 활용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
      → Hypermedia API의 기본을 지키며 범용성 보장
      → REST API 메시지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
      → 서비스 디자인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 분리
    - 단점
      → 표준의 부재
      →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가 4가지
      → 구형 브라우저가 아직 제대로 지원해주지 못함(PUT, DELETE, pushstate)

  • REST의 필요성
    - 애플리케이션 분리 및 통합
    - 다양한 클라이언트 등장
    - 서버 프로그램은 다양한 브라우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통신할 수 있어야 함

  • REST 구성 요소
    - 자원(Resource) : URI
      →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가 존재, 이 자원은 Server에 존재
      → 자원을 구별하는 ID는 '/groups/:group_id'와 같은 HTTP URI
      → Client는 URI를 이용해 자원을 지정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
    - 행위(Verb) : HTTP Method
      → GET, POST, PUT, DELETE와 같은 HTTP 프로토콜 Method를 사용
    - 표현(Representation of Resource)
      → Client가 자원의 상태에 대한 조작을 용청하면 Server는 이에 적절한 응답
      → REST에서 하나의 자원은 JSON, XML, TEXT, RSS 등 여러 형태의 Representation으로 나타냄(JSON, XML이 일반적)

  • 특징
    - Server-Client
      → 자원이 있는 Server, 자원을 요청하는 Client
           (REST Server : API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로직 처리 및 저장)
           (Client : 사용자 인증이나 context(세션, 로그인 정보)등을 직접 관리하고 책임)
      → 의존성이 줄어듬
    - Stateless(무상태)
      → Client의 context를 Server에 저장하지 않음(세션, 쿠키와 같은 context 정보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구현 단순)
      → Server는 각각의 요청을 완전히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고 처리(Server의 처리 방식에 일관성을 부여하고 부담이 줄어듦, 서비스의 자유도 높아짐)
    - Cacheable(캐시 처리 가능)
      → 웹 표준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해서 Last-Modified 태그나 E-Tag를 이용하여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인 캐싱 기능 구현 가능
           (캐시 사용을 통해 응답시간이 빨라지고 REST Server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응답시간, 성능, 서버의 자원 이용률을 향상 가능)
    - Layered System(계층화)
      → Client는 REST API Server만 호출
      → REST Server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 가능
           (API Server는 순수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그 앞단에 보안, 로드밸런싱, 암호화, 사용자 인증 등을 추가하여 구조상의 유연성 부여 가능, 로드 밸런싱, 공유 캐시등을 통해 확장성과 보안성 향상 가능)
      →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 매체를 사용 가능
    - Code-On-Demand(optional)
      → Server로부터 스크립트를 받아 Client에서 실행
      → 반드시 충족할 필요 없음
    - Uniform Interface(인터페이스 일관성)
      → URI로 지정한 Resource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폰에서 사용가능(특정 언어, 기술에 종속되지 않음)

 

REST API

  • 의의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간 상호 작용 촉진, 서로 정보 교환 가능하도록 함
    - REST API의 정의
      → REST 기반을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
      → 최근 OpenAPI, 마이크로 서비스등을 제공하는 업체 대부분은 REST API를 제공

  • 특징
    - 사내 시스템들도 REST 기반으로 시스템을 분산해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높여 유지보수 맟 운용을 편리하게 가능
    - REST는 HTTP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하므로, HTTP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언어로 클라이언트, 서버를 구현 가능(델파이 클라이언트 뿐 아니라, JAVA, C#, Web 등을 이용해 클라이언트 제작 가능)

  • 설계 기본 규칙
      (참고 리소스 원형)
      → 도큐먼트 : 객체 인스턴스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와 유사한 개념
      → 컬렉션 : 서버에서 관리하는 디렉터리라는 리소스
      → 스토어 :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하는 리소스 저장소

    -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함
      i. resource는 동사보다는 명사, 대문자보다는 소문자 사용
      ii. resource의 도큐먼트 이름으로는 단수 명사 사용
      iii. resource의 컬렉션 이름으로는 복수 명사 사용
      iv. resource의 스토어 이름으로는 복수 명사 사용
    -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UT, POST, DELETE 등)로 표현
      i. URI에 HTTP Method가 들어가면 안됨
      ii. URI에 행위에 대한 동사 표현이 들어가면 안됨
      iii. 경로 부분 중 변하는 부분은 유일한 값으로 대체

  • 설계 규칙
    - '/'구분자는 계층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
    - URI 마지막 문자로 '/'를 포함하지 않음
    - '-'은 URI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
    - '_'는 URI에 사용하지 않음
    - URI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RFC 3986은 URI 스키마와 호스트를 제외하고는 대소문자를 구별하도록 규정)
    - 파일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

  • 설계 예시

    CRUDHTTP verbsRoute
    resource들의 목록을 표시 GET /resource
    resource 하나의 내용을 표시 GET /resource/:id
    resource 생성 POST /resource
    resource 수정 PUT /resource/:id
    resource 삭 DELETE /resource/:id


    (참고 응답상태코드)
      → 1XX : 전송 프로토콜 수준의 정보 교환

      → 2XX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됨

      → 3XX :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적인 행동을 취해야 함

      → 4XX :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

    → 5XX : 서버쪽 오류오 인한 상태코드

RESTful

  • 의의- RESTful은 일반적으로 REST라는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
    - RESTful은 REST를 REST 답게 쓰기 위한 방법(공식 발표 아님)

  • 목적
    - 이해하고 쉽고 사용하기 쉬우 REST API 만들기
    - RESTful한 API를 구현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성능 향상이 아닌 일관적인 컨벤션을 통한 API의 이해도 및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 주 동기, 성능이 주용한 상황에서는 RESTful한 API 구현할 필요 없음

  • RESTful하지 못한 경우
    - CRUD 기능을 모두 POST로만 처리하는 API
    - route에 resource, id 외의 정보가 들어가는 경우

Reference

keywordcontents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 : 정보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위치 지정 가능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통합 자원 지시자(URI의 가장 흔한 형태) : 구체적인 위치 서술

URN

Uniform Resource Name

해당 리소스의 위치에 영향 받지 않는 유일무이한 이름 역할

DataBase Record row,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record or tuple로 불림
HATEOAS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

하이퍼미디어를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매커니즘으로 사용

HTTP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Server/Client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위에서 작동

- Hypertext(단순한 1차원의 문장 구조에 머물지 않고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짜맞추어 표시하도록 한 컴퓨터 텍스)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겠다

Connectless 방식 : 서버에 연결하고 요청해서 응답을 받으면 열결을 끊음(기본적으로 자원 하나에 대해 하나의 연결을 만듬)

- 장점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방식

- 단점 : 연결을 끊어버리기에 Client의 이전 상태를 알 수 없음(stateless)

PROXY Server와 Client 사이에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
PROXY Server Client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킴 (중계 기능)
gateway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